예수의 비유들: 비유(parable)를 통한 하나님 나라 가르침(X)
<역사적 예수 연구 시리즈>
페이지 정보
씨디엔 기자 작성일21-07-30 14:15본문
김영한(기독교학술원장/샬롬나비 상임대표/숭실대기독교학대학원 설립원장)
5. 부유한 자 비유
1) 부자와 나사로 비유(눅 16:19-31)
(1) 가난한 자에 대한 축복과 부한 자에 대한 저주
부자와 나사로(The Rich Man and Lazarus) 비유에서 예수는 두 부류의 인간 형(型)과 관련하여 하나님 나라의 비밀을 들려준다.
“한 부자가 있어 자색 옷과 고운 베옷을 입고 날마다 호화롭게 즐기더라. 그런데 나사로라 이름하는 한 거지가 헌데 투성이로 그의 대문 앞에 버려진 채, 그 부자의 상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배불리려 하매 심지어 개들이 와서 그 헌데를 핥더라. 이에 그 거지가 죽어 천사들에게 받들려 아브라함의 품에 들어가고 부자도 죽어 장사되매. 그가 음부에서(in hell) the 고통 중에 눈을 들어 멀리 아브라함과 그의 품에 있는 나사로를 보고, 불러 이르되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나를 긍휼히 여기사 나사로를 보내어 그 손가락 끝에 물을 찍어 내 혀를 서늘하게 하소서 내가 이 불꽃 가운데서 괴로워하나이다. 아브라함이 이르되 얘 너는 살았을 때에 좋은 것을 받았고 나사로는 고난을 받았으니 이것을 기억하라 이제 그는 여기서 위로를 받고 너는 괴로움을 받느니라. 그뿐 아니라 너희와 우리 사이에 큰 구렁텅이가 놓여 있어 여기서 너희에게 건너가고자 하되 갈 수 없고 거기서 우리에게 건너올 수도 없게 하였느니라. 이르되 그러면 아버지여 구하노니 나사로를 내 아버지의 집에 보내소서. 내 형제 다섯이 있으니 그들에게 증언하게 하여 그들로 이 고통 받는 곳에 오지 않게 하소서. 아브라함이 이르되 그들에게 모세와 선지자들이 있으니 그들에게 들을지니라. 이르되 그렇지 아니하니이다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만일 죽은 자에게서 그들에게 가는 자가 있으면 회개하리이다. 이르되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듣지 아니하면 비록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자가 있을지라도 권함을 받지 아니하리라 하였다 하시니라”(눅 16:19-31)
부자는 호의 호식하는 세상적으로 부유한 자들의 대표요 나사로는 부자들이 식탁에서 내던진 빵 부수러기 조차도 주워 먹을 수 없는 가난한 자들의 대표다. 부자는 호화롭고 즐기고 방탕(放蕩)한 삶을 사는 자를 상징하며, 나사로는 세상에서 가난하나 경건한 삶을 사는 자를 상징한다. 가난한 자들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으로 살고 하나님의 계명에 순종한다. 이에 반해 하나님을 깔보고 하나님을 비웃는 이들은 지상에서 성공을 거듭하면서 복이란 복은 다 누린다. 호의 호식하는 부자들은 마음이 공허한 사람들이고, 자기 안에 있는 공허함을 억누려는 자들이나 가난한 자들은 비록 무화과 나무의 소출은 적으나 하나님의 법을 즐거워하는 자들이다.
이 비유는 누가복음에 보도된 예수께서 평지에서 행하신 축복과 저주 선언에 대한 일종의 예증이라고 할 수 있다: “너희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하나님의 나라가 너희 것임이요, 지금 주린 자는 복이 있나니 너희가 배부름을 얻을 것임이요 지금 우는 자는 복이 있나니 너희가 웃을 것임이요, 인자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너희를 미워하며 멀리하고 욕하고 너희 이름을 악하다 하여 버릴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도다. 그 날에 기뻐하고 뛰놀라 하늘에서 너희 상이 큼이라 그들의 조상들이 선지자들에게 이와 같이 하였느니라. 그러나 화 있을진저 너희 부요한 자여 너희는 너희의 위로를 이미 받았도다. 화 있을진저 너희 지금 배부른 자여 너희는 주리리로다 화 있을진저 너희 지금 웃는 자여 너희가 애통하며 울리로다. 모든 사람이 너희를 칭찬하면 화가 있도다. 그들의 조상들이 거짓 선지자들에게 이와 같이 하였느니라”(눅 6:20-26).
예수의 하나님 나라의 복음에는 세상적인 부자에 대한 경고 내지 저주 선언과 세상적인 가난한 자에 대한 위로와 축복 선언이 동반되어 있다. 나사로는 모든 가난한 사람을 대표한다. 가난한 사람이란 경건성의 의미에서 오직 하나님으로부터만 도움을 기대하는 사람들이다: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그들의 것임이요”(마 5:3). 나사로는 죽은 후 영원한 생명의 잔치에서 아브라함 품에 안기는 은총과 영광을 차지한다: “동서로부터 많은 사람이 이르러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과 함께 천국에 앉으려니와”(마 8:11). 부자는 호화로운 생활을 하고 죽어 화려한 장례식을 마친 후에 “죽은 자들의 나라”인 음부(陰府)에 들어간다. 음부(hell은 희랍어 Haidēs, 희브리어 Sheol이나 Gehenna의 번역)는 선한 자나 악한 자를 막론하고 죽은 자들의 거처이다. 나중에 거의 배타적으로 죽은 악인들의 처소로 사용되어졌다. 음부는 지옥, 즉 악인들을 위한 형벌 장소다: “오직 너희는 밖에 쫓겨난 것을 볼 때에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갈리라”(눅 13:28b). “바다가 그 가운데에서 죽은 자들을 내주고 또 사망과 음부도 그 가운데에서 죽은 자들을 내주매 각 사람이 자기의 행위대로 심판을 받고, 사망과 음부도 불못에 던져지니 이것은 둘째 사망 곧 불못이라”(계 20:13-14). 예수는 유신론적 사후세계의 관점에서 천국과 지옥을 언급하고 있다. 인간의 삶은 현세에서 끝나지 않고 내세에서는 현세의 삶에 대한 판결로서 믿음의 선한 삶을 산 자들은 천국에서 복락과 안식의 삶을 살게되고, 세상의 열락과 악한 삶을 산 자들은 불못으로 불리워지는 지옥에서 보응과 고통의 삶을 살게 된다.
(2) 현세의 삶의 결과에 대한 내세 하나님 나라의 보상
비유에서 부자는 세상에서 호화롭게 살고 연락을 즐겼다. 거지 나사로는 피부병 투성이로 부자의 대문에서 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로 배를 채워며 살았다. 거지 나사로가 신앙이 있었다고 말하지는 않으나 그가 죽어서 천사들에게 받들려 아브라함의 품 속에 안긴 것으로 보아서 살았을 때 하나님을 믿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자는 죽어서 지옥에 떨어졌다.
부자는 지옥에서 고통 중에 천국에서 아브라함의 품속에서 안식(安息)하는 나사로를 보고 아브라함에게 청한다: “아버지 아브라함이여 나를 긍휼히 여기사 나사로를 보내어 그 손가락 끝에 물을 찍어 내 혀를 서늘하게 하소서 내가 이 불꽃 가운데서 괴로워하나이다”(눅 16:24). 이에 대하여 아브라함은 대답한다: “얘 너는 살았을 때에 좋은 것을 받았고 나사로는 고난을 받았으니 이것을 기억하라 이제 그는 여기서 위로를 받고 너는 괴로움을 받느니라. 그뿐 아니라 너희와 우리 사이에 큰 구렁텅이가 놓여 있어 여기서 너희에게 건너가고자 하되 갈 수 없고 거기서 우리에게 건너올 수도 없게 하였느니라”(눅 16:25-26). 아브라함은 내세는 현세의 삶에 대한 결산이 있다는 것을 교훈해 준다. 그리고 천국과 지옥에는 건너갈 수 없는 심연(深淵)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이에 부자는 청한다: “그러면 아버지여 구하노니 나사로를 내 아버지의 집에 보내소서. 내 형제 다섯이 있으니 그들에게 증언하게 하여 그들로 이 고통 받는 곳에 오지 않게 하소서”(눅 16:27-28). 부자는 저승에서 온 사람이 현세로 가서 내세의 실재를 알리게 해달라고 청원한다. 부자는 저승에서 온 사람의 증언을 사람들이 믿을 것으로 생각했다.
이에 아브라함은 대답한다: “그들에게 모세와 선지자들이 있으니 그들에게 들을지니라”(눅 16:). 아브라함은 대답한다: “모세와 선지자들에게 듣지 아니하면 비록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나는 자가 있을지라도 권함을 받지 아니하리라”(눅 16:31). 아브라함은 부자의 요청, 지옥의 실재에 관한 징표로서 나사로를 저승에서 온 사람으로 자기 집 가족들에게 보내어 지옥이 있다는 사실을 알리게 해달라는 요청을 거절한다. 이에 대해서 아브라함은 성경말씀을 하나님 나라와 지옥 실재에 대한 유일한 증거와 표준으로 제시한다. 모세와 선지자들의 증거란 구약의 증거를 말한다. 오늘날 신약시대 우리들에게는 신약의 증거가 보태진다. 신구약 성경 말씀의 증거를 믿지 않는 사람이라면 저승에서 온 사람의 증언도 믿지 않는다. 하나님 나라에 관한 진리는 인간의 체험적 진리로 대체(代替)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