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츠바
정관창목사 (뿌리와가지교회)
페이지 정보
최고관리자 기자 작성일19-01-03 22:16본문
미츠바 mitzvah 란 유대교의 성경 또는 율법학자에 의해 규정된 계율 commandment 로 선행이나 자선행위 또는 바른 행동들에 대한 규정을 말한다. 유대인들은 이 미츠바를 자신들만의 문화로서 어릴적부터 자연스럽게 몸으로 익히기 때문에 유대교도들의 생활은 상당히 청빈하다. 미츠바라는 말은 좁은 의미에서 긍정적인 미츠바만을 가르키고 부정적인 미츠바에는 아베라 Avera 라는 부정적인 단어가 사용된다.
613 미츠바
유대교의 미츠바는 모두 613가지가 존재한다. 히브리어로 613 미츠바는 타리아그 미츠바 Taryag mitzvot 라고 하는데 타리아그는 히브리어가 가진 숫자값인 게마트리아 Gematria 로 613이 된다. 이중 긍정적인 미츠바 positive commandments 는 248가지, 부정적인 미츠바 negative commandments 는 365가지로 구분된다. 탈무드에 의하면 365는 태양력의 365일을 의미하고 248가지는 신체의 뼈마디와 장기를 합친 수를 의미한다고 되어 있다.
긍정의 미츠바
긍정의 미츠바란 하라 Do는 적극적인 명령을 말한다. 613 미츠바 중 248가지를 말하고 히브리어로는 미츠바 아세 mitzvot aseh 라고 부른다. 탈무드에서는 하나님께서 하라고 말씀하신 것을 모두 실천하게 되면 우리 몸의 뼈와 장기에 좋은 약이 되어 즐겁고 건강하게 살 수 있지만 순종하지 않는 자는 그 말씀을 지키지 않는 순간부터 온 몸이 쑤시는 고통을 받게된다고 기록하고 있다.
부정의 미츠바
부정의 미츠바에는 히브리어 아베라 Avera 라는 부정의 단어가 포함된다. 613 미츠바 중 365가지는 부정의 미츠바로 히브리어로는 미츠바 롯아세 mitzvot lo taaseh 라고 부른다. 부정의 미츠바는 긍정의 미츠바와는 반대로 하지 말라 Do Not 는 명령이다. 탈무드는 하지말라는 계명이 1년의 날짜와 동일한 365인 것에는 하나님의 숨은 의도가 있다고 말한다. 즉, 하지말라는 말씀대로 순종하면 행복한 365일을 살 수 있지만 그렇치 못할 때에는 365일 하루도 편할 날이 없게 된다는 것이다.
세가지의 기본적인 죄
365가지의 부정적 미츠바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세가지 즉, 살인 murder , 우상숭배 idolatry, 금지된 성관계 forbidden sexual relations 는 따로 야하레그 발 야아보르 yehareg v'al ya'avor 라 하여 적극적으로 지킬 것을 명령하고 있다. 유대교에서는 살인과 우상숭배 및 성경에서 금지하는 성관계를 세가지 기본적인 죄 The Three Cardinal Sins 라고 부른다.
613 미츠바의 기록에 대해
랍비 사아디아 가온 Saadia Gaon 의 세페 하 미츠바 Sefer ha Mitzvoth는 현존하는 613 미츠바 중에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탈무드가 완성된 후, 6세기에서 11세기에 걸친 게오님 Geonim 시대에 만들어진 가온의 미츠바는 간략한 일람표 형식으로 되어 있다. 스페인의 유대교도 랍비인 모세 마이모니데스 Moises Maimonides가 쓴 세퍼 하미츠바 Sefer Hamitzvot 는 각 미츠바에 상세한 주석이 덧 붙여져 있고 일람표는 종류별로 편성이 되어 있다. 미츠바에 대한 기록은 이 두 버전 말고도 대여섯가지가 존재하는데 계명의 일람은 계명이 토라에 나오는 순서대로 쓰여진 것과 마이모니데스의 열거에 따른 것 두가지가 공존한다. 현대적인 613 미츠바는 대부분 마이모니데스의 일람표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탈릿과 찌찌
유대인들의 기도복장이라고 할 수 있는 탈릿 tallit 에 달린 장식인 찌찌 tzitzit 는 613 토라에 대한 해석의 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찌찌라는 히브리어는 히브리어의 숫자값으로 600을 상징한다. 하나의 줄은 여덟 가닥을 꼬아 만들고 다섯개의 매듭을 맺는다. 이 여덟과 다섯을 더하면 13이 된다. 600과 13 즉 613이 되는 것이다.
613 미츠바의 순서
현재 국내에서 613 미츠바라고 소개되고 유포되고 있는 한글목록의 대부분은 계명이 토라에 나오는 순서대로 쓰여진 것으로 내용 자체에는 문제가 없지만 일반적으로 국외에서 많이 인용되고 있는 마이모니데스 방식의 미츠바와 종종 혼란을 야기한다. 또 명칭에 있어서도 613 미츠바가 글로벌한 표현이지만 국내에서는 613 토라라는 명칭이 더 보편적으로 정착되어 있다.